13. 라플라스(Laplace) & Z 변환(Z-transform) 변환표(Conversion table)
라플라스(Laplace) & Z 변환(Z-transform) 변환표(Conversion table)
시간 함수로 표현 되는 연속 시스템 함수 f(t)의 라플라스로 변환된 함수 F(s)와 등가 디지털 신호인 이산 신호 f(kT) 그리고 Z 변환된 함수 F(z)의 관계에 따른 변환표이다.
라플라스(Laplace) 변환표(Conversion table)
시간 t가 0 이상일 때 1의 값을 가지는 함수 u(t)가 있을 때 이를 라플라스 함수로 변환하면
이처럼 계단 함수(Step function)는 라플라스 정의에 따라
계단 함수 u(t)는 시간에 따라 표현 되는 시간 함수이고 계단 함수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시간 함수를 f(t)로 라플라스 함수는 F(s)로 나타낸 테이블이다.
No.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Z 변환(Z-transform) 변환표(Conversion table)
연속 시간 함수를 일정 주기로 표본화하면 이산 시간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표본화는
으로 표현한다.
계단 함수를 Z 변환으로 바꾸면 등비수열 형태로 나타난다.
함수 f(k)를 Z-변환하면
이산 신호 f(kT)를 Z 변환 함수는 F(z)로 나타낸 테이블이다.
No.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라플라스와 Z 변환 변환표
시간 함수 f(t), 라플라스 함수 F(s), 이산 신호 f(kT) 그리고 Z 변환된 함수 F(z)의 변환표이다.
No.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No. 2의 n=1.
댓글
댓글 쓰기